정조의 어린 시절
조선 제22대의 왕 정조는 사도세자의 아들이자 영조의 손자입니다. 비극적인 가족사 속에서도 학문을 닦고 강인한 지도자로 성장한 왕입니다.
정조는 이름은 이산(李祘), 1752년 10월 28일 (음력 9월 22일)에 태어났습니다. 아버지는 사도세자(영조의 아들이자 비운의 왕세자)이며 어머니는 혜경궁 홍 씨입니다. 할어버지는 조선 21대 왕 영조입니다. 정조는 조선 왕실 역사에서 가장 비극적인 가족사를 지닌 왕으로 유명합니다.
정조가 10세가 되던 해 그의 아버지 사도세자는 영조의 명령에 의해 뒤주(쌀 저장 통)에 갇혀 죽는 비극적인 사건을 겪게 됩니다. 정조는 아버지의 죽음을 직접 목격하며 큰 충격을 받게 됩니다. 아버지의 죽음 뒤 어머니 혜경궁 홍 씨와 할아버지 영조 사이에는 정치적으로 매우 위태로운 위치가 되고 노론이 정조를 견제하며 왕위 계승을 방해했습니다. 이 사건으로 정조는 신중하고 조심스러운 태도를 갖게 되었고 어린 나이임에도 정치적 생존력을 키우게 됩니다.
아버지의 사도세자가 비극적으로 죽었지만 정조는 영조에게 총애받는 손자로 성장합니다. 영조는 자신의 정치적 실수를 만회하기 위해 정조를 왕세손(왕위 계승자)으로 책봉합니다. 그의 나이 11세 때입니다. 영조는 손자 정조를 매우 아꼈고 특별히 학문과 정치 교육을 철저시 시켰습니다. 정조는 어려서부터 유학, 병법, 역사, 천문학 등에 뛰어난 재능을 보였고 영조의 명으로 경서(유교 경전)와 병법을 철저하게 공부하며 왕이 될 준비를 했습니다. 정조는 어린 시절부터 책 읽기를 좋아하여 규장각에서 활동하는 학자들과도 교류했습니다. 특히 박제가, 이덕무, 유득공 같은 개혁적인 실학자들과의 만남이 그의 사상 형성에 큰 영향을 미쳤습니다. 1775년 영조가 병약해지면서 정조는 실질적으로 왕위 계승자로서의 입지를 다지게 됩니다. 1776년 영조가 사망하자 정조가 25세의 나이로 조선 제22대 왕으로 즉위하게 됩니다.
정조의 업적
정조는 조선 후기 개혁 군주로 평가 받습니다. 할아버지인 영조가 펼친 탕평책을 강화하고 개혁 정치를 추진합니다. 실학 진흥과 국방을 강화하고 결제 발전에 힘씁니다. 정조는 조선의 중흥을 이끈 왕으로 훗날 평가받습니다.
정조는 강력한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개혁을 합니다. 조선 후기 정치의 가장 문제는 붕당 간의 대립이었습니다. 지금으로 말하면 정당간의 때립니다. 정조는 붕당 간의 균형을 맞추기 위해 "탕평책"을 더욱 강력하게 추진합니다. 왕권을 강화하고 정치를 안정화시키기 위해 규장각을 중심으로 개혁 세력을 키웁니다. 정조는 규장각을 개편하여 정치 개혁의 중심 기관으로 활용합니다. 규장각은 단순한 도서관이 아니라 왕권 강화를 위한 정치 기구 역할을 하고 젊고 유능한 인재들을 등용하여 개혁 세력으로 키웁니다. 대표적인 규장각 인재는 박제가, 유득공, 이덕무, 정약용 등이 있습니다. 젊고 유능한 신하들을 규장각에서 특별 교육하여 개혁을 추진하고 기존의 권력층인 노른 이 아닌 새로운 인재들을 적극 등용합니다.
정조는 상업과 농업 발전에 힘쓰는 경제 개혁을 합니다. 특정 상인이 독점한 상업인 육의전의 특권을 폐지하고 자유로운 상업 활동을 보장합니다. 이를 신해통공이라고 하는데 문신 체재공의 건의로 시행된 통공발매정책이다. 그리고 조선의 모든 법령을 정리한 법전인 대전통편을 편찬합니다. 백성들의 생활을 안정시키기 위해 농업과 관련된 법령도 재정비합니다.
정조는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 군사를 개혁합니다. 왕의 친위부대인 장용영을 설치합니다. 기존의 군사 조직인 훈련도감, 금위영 등은 권력층의 영향을 받아서 정조는 자신을 보호하고 개혁을 추진하기 위해 새로운 친위부대인 장용영을 창설하여 왕권을 더욱 강화하고 군사 개혁을 추진했습니다. 그리고 아버지의 사도세자의 묘(현륭원)를 보호하고 국방을 강화하기 위해 수원화성을 건설합니다. 정약용의 거중기를 활용하여 건설 비용과 노동력을 절감 시켰습니다. 수원화성은 군사적 요충지이자 경제 중심지로 수원을 발전시키게 되었습니다.
마지막으로 정조는 학문과 문화 발전에 힘씁니다. 정조는 현실적이고 실용적인 학문인 실학을 적극 지원합니다. 대표적인 실학자로 정약용, 박제가, 이덕무, 유등공 등이 있습니다. 정조는 정약용에서 실학적 기술 개발을 지원하여 적양용이 개발한 거중기를 활용해 수원 화성을 신속하게 축조합니다. 마지막으로 백과사전식 서적들을 편찬하여 학문과 지식 발전을 도모했습니다. 대표적인 서적으로는 대전통편, 동문휘고, 무예도보통지가 있습니다.
정조의 역사적 평가
정조는 조선 후기 르네상스를 이끈 개혁 군주로 긍정적인 평가를 받습니다. 붕당 정치의 폐해를 극복하기 위해 탕평책을 강화하고 규장각을 설립하여 젊고 유능한 신하들을 등용해 개혁 세력을 양성했습니다. 친위 부대인 장용영을 창설해 군사력을 강화하고 왕권을 안정적으로 유지했습니다. 실용적인 학문을 장려하고 실학자들을 적극 후원하고 규장각을 통해 학문과 문화를 발전시켜 조선 후기 문화 르네상스를 이끌었다는 평가를 받습니다. 신해통공을 시행하고 육의전의 독점을 폐지하여 조선 후기 상업이 활성화되고 경제 발전의 기반을 마련했습니다. 수원화성 축조로 조선의 국방력을 강화하고 경제 중심지로서의 수원 발전에 기여했습니다.
그러나 부정적인 평가도 있습니다. 정조가 추진한 개혁은 강력한 왕권을 기본으로 한 것이었으나 그의 갑작스러운 죽음(1800년,49세)으로 인해 미완에 그치게 됩니다. 정조 사후 어린 순조(11세)가 즉위하면서 세도 정치가 본격화 되었습니다. 정조의 개혁 정책이 지속되지 못하고 조선 사회는 다시 보수화되었습니다. 정조는 왕권 강화를 위해 노론과 소론을 모두 견제하면서도 완전히 제거하지는 못했습니다. 일부 노론을 포섭하였지만 결국 노론이 정조 사후에 다시 정권을 장악하게 되었습니다. 개혁이 지속되지 못한 이유 중 하나가 강력한 정치적 청산이 부족했기 때문이라는 평가도 존재합니다.